국내 지질학 역사 최초로 세계지질과학총회(IGC) 개최, 6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121개국 7천명 참가
자원(전략광물), 원전/방폐물, 우주행성지질, 탄소중립 등 국가 주요 과학기술 정책과 전 세계적 이슈 논의로 지질과학 강대국 도약 및 대한민국의 위상 제고, 기대

지질학 최고 권위의 학술대회인 세계지질과학총회(IGC, International Geological Congress)가 6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다. IGC 2024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평구, KIGAM)과 대한지질학회(회장 김영석 교수), 부산광역시(시장 박형준)가 손을 맞잡고 공동 주관한다.
IGC는 1878년 프랑스 파리의 제1차 총회 이후, 4년마다 대륙을 순환하며 개최되고 있다. 이번 제37차 총회(IGC 2024)는 1996년 중국 개최 이후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28년 만에,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개최하며, 지난 2020년 11월 조직위원회(조직위원장 정대교)를 출범시켜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준비에 힘써왔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실질적으로는 8년 만에 대면 개최됨에 따라 전 세계 지질학계의 높은 관심과 기대로 역대 최대 규모의 인원이 참여한다.
IGC 2024는 등록 및 사전행사(Ice Breaker Party)를 시작으로 개막식을 포함해 학술발표, 워크숍, 전시회(GeoExpo), 지질답사(한‧몽골), 지질영화제(GeoFilm Festival)를 운영한다. 특히 자원(전략광물), 원전/방폐물, 우주행성지질, 탄소중립 등 국가 주요 과학기술정책을 논의하고 이번 총회를 통해 지질과학분야 신흥 강대국, 대한민국의 위상을 증명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학술발표는 우주지질, 탄소중립, 원자력/방사성폐기물 처분, 기후변화대응 등 41개 주제, 222개의 세션으로 운영된다. 주관기관인 지질자원연의 연구자들은 74개 초록을 등록해 국토우주지질, 광물자원, 해저지질에너지, 지질재해, 기후변화대응 등 지질학 전반에 대한 발표 및 논의로 학술세션에 참여한다.
특히 ‘달 자원: 탐사, 활용, 지속가능성’ 주제의 특별세션을, 저녁에는 ‘우주행성인의 밤’ 행사를 열며, 우주자원 탐사 분야 연구를 선도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준다.
또한, ‘활성지구조/지진/활성단층’을 주제로 특별세션을 통해 최근 전 지구적으로 발생하는 대형지진의 연구결과와 대비방안을 강구한다. ‘튀르키예 대지진에 대한 분석결과’와 토마스 락웰 교수의 ‘남부 샌안드레아스 단층계에서 1,100년간 발생한 대지진 활동’ 연구결과도 발표된다.
IGC 2024 조직위원회에서는 동해 울릉분지 심해 탐사 특별 심포지엄을 열어 국내외 지질학뿐만 아니라 모든 학계의 이목이 집중될 예정이다.
이평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은 “IGC 2024를 통해 KIGAM과 우리나라 지질학의 우수한 연구 성과를 전 세계에 알리는 한편, K-지오사이언스라는 새로운 밈(meme)의 시작을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히며, “앞으로도 지질과학 분야 국가대표로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고 지구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KIGAM의 모든 직원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신흥뉴스 남현석 기자 ori7052@shinheungnews.com